02. 아이디어 해커톤

아이디어 해커톤

프로젝트 기획 과정으로, 다양한 아이디어를 생각해내는 시간을 가지기로 했다.

골든 서클을 바탕으로 무엇을이 아닌 왜 => 어떻게 => 무엇을 순으로 고민하면서, 고객의 페르소나를 생각하고 무엇이 필요할지를 도출하기로 했다!

flowchart LR; a((WHY)) --> b((HOW)) --> C((WHAT))

열품타처럼, 공부한 시간을 표시할 수 있는 기능 등 많은 기능들에 대한 의견들이 나왔고 정리하고자 한다.

  • 아이디어 목록

    • AI 관련 기능

      1. AI를 이용한 스터디에 맞는 책, 공부 방법 등 자료 제공 기능 (GPT에게 질문하여 결과 가져오기)
    • BM 관련 기능

      1. 디스코드 니트로 부스트처럼 그룹에서 유료 구독 서비스를 통한 게스트 생성 기능

      2. 그룹끼리 지각비 등 추가적인 목적의 결제 및 화폐 기능 + 출석 체크 기능(출석률 제공) (이를 이용한 앱 내 자체 화폐 기능,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 결제 관련 기능은 차후 더 논의해보기로)

      3. 스터디 홍보 기능(스터디 그룹에게 홍보비 받아서 비즈니스 모델 창출 및 유저에게 적합한 스터디 추천 제공 기능)

    • 기능 구현

      1. 스터디 외의 챌린지 그룹 등을 제공해서 1등이 상금을 다가져가는 배틀 토너먼트 식(스터디 내에서도 뭔가 대회나 토너먼트 개최 등을 통해서 스터디원끼리 참가한다던지 등)

      2. 참여도 등의 기준에 따른 당근 마켓의 온도 시스템과 같은 시각화 할 수 있는 시스템 적용

      3. 그룹의 등급 시스템 (그룹 내 참가자들의 온도 평균으로 계산)

      4. 스터디 내 첨부 파일 공유 기능

      5. 전문가들을 통한 멘토링 서비스 (구체적인 것은 논의)

      6. 투표 기능 (출금 등 기타 문제를 위해)

      7. 스터디 후 익명 리뷰 및 피드백 (타인의 온도를 악의적으로 낮출 가능 성이 있어 더 구체적인 논의 필요)

      8. 사용자 위치기반으로 스터디 모임 모집, 스터디룸 정보 제공 예약 (위치 기반은 이미 기존 명세서에서 요구하는 바이고, 스터티룸 예약은 해당 스터디룸을 관리하는 곳에서 API를 제공하는게 아니면 힘들 듯)

      9. 공부시간 측정(현실적으로 잠금 기능 등 구현 여유가 없어서 보류)

      10. 강퇴 기능

      11. 온라인 스터디시 카메라를 띄울 수 있게(현실적으로 구현 여유가 없어 취소)

      12. 채용 공고 달력 기능 (공사에서 API 업데이트를 하지 않아 현실적으로 사용하기가 부적합하다고 판단)

      13. 스터디 말고 그냥 모임 앱으로 전환 (논의 결과 주제 구체화를 위해서 스터티 그룹 앱으로 초점을 잡는 것으로 결정)

    • 결제 관련 기능

      • 그룹의 오프라인 모임 비용 결제 기능

      • 오프라인 모임 시 지각 비용 결제 기능

      • 챌린지 등의 기능으로 참가비를 걷어서 수익 분배
      • 문제점
        • 그룹장의 돈 먹튀 가능성
      • 논의된 해결책
        • 투표 기능을 통해 출금을 함부로 할 수 없도록 하자

        • 그룹의 돈 사용 내역을 가계부처럼 제공해주는 기능을 해도 좋을 것 같다

        • 그룹을 만약 폭파시키면 남은 금액이 1/N으로 돌아가도록 해도 좋을 것 같다

  • 구체화

    1. 위치 확인 기능 (10분 내에 각 멤버의 위치를 알람으로 띄워주는 기능)
  • 해커톤 발표 이후 개선점

    1. 명확하게 이 앱을 사용할 이유를 조금 더 찾아야 한다.

© 2025. Na2te All rights reserved.